Ubuntu - chown, chmod 설정 방법

3 분 소요

Ubuntu - systemd 시스템 및 서비스 관리자 설정 방법

파일이나 폴더(디렉토리)의 소유자를 변경하거나 권한을 수정하는 데 사용되는 주요 Linux 명령어는 chown과 chmod입니다.

1. chown (Change Owner)

chown 명령어는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소유자와/또는 그룹을 변경하는 데 사용됩니다.

기본 구문:

chown [옵션] 사용자명[:그룹명] 파일명

사용자명: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새 소유자의 사용자 이름입니다. 그룹명: 선택적으로,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새 그룹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 (콜론)을 사용하여 사용자명과 구분합니다.

예시 :

chown username file.txt  # 'file.txt'의 소유자를 'username'으로 변경
chown username:groupname directory/  # 'directory'와 그 안의 모든 파일의 소유자와 그룹을 'username'과 'groupname'으로 변경

2. chmod (Change Mode)

chmod 명령어는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접근 권한을 변경하는 데 사용됩니다.

기본 구문:

chmod [옵션] 모드 파일명

모드: 설정하고자 하는 권한을 나타내는 숫자나 문자열입니다. 권한은 읽기(r), 쓰기(w), 실행(x)을 의미하며, 소유자(owner), 그룹(group), 그 외 사용자(others)에게 다르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R 옵션: 재귀적으로 디렉토리와 그 내용의 권한을 변경하려면 -R을 사용합니다.

예시 :

chmod 755 file.txt  # 소유자에게 모든 권한을 주고, 그룹과 다른 사용자에게는 읽기와 실행 권한만 부여
chmod u+x script.sh  # 'script.sh'에 대해 소유자에게 실행 권한을 추가

3. 옵션

-R 옵션

재귀적으로 디렉토리와 그 내용의 소유자를 변경하려면 -R을 사용합니다. -R 옵션은 chown과 chmod 명령어에서 사용되며, “재귀적(Recursive)”의 줄임말입니다. 이 옵션을 사용하면, 지정된 디렉토리와 그 디렉토리 내의 모든 파일과 하위 디렉토리에 대해 명령을 적용합니다. 즉, 단일 파일이나 디렉토리뿐만 아니라, 그 안에 포함된 모든 내용에 대해서도 소유자 변경(chown)이나 권한 변경(chmod)을 일괄적으로 수행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chmod 명령어를 사용하여 특정 디렉토리 내의 모든 파일과 디렉토리에 실행 권한을 추가하려면 다음과 같이 -R 옵션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chmod -R +x /path/to/directory

이 명령은 /path/to/directory 경로에 있는 모든 파일과 디렉토리에 대해 실행 권한을 추가합니다.

마찬가지로, chown 명령어에서 -R 옵션을 사용하여 특정 디렉토리와 그 안의 모든 파일 및 하위 디렉토리의 소유자와 그룹을 변경하려면 다음과 같이 할 수 있습니다:

chown -R username:groupname /path/to/directory

이 명령은 /path/to/directory 경로와 그 안에 포함된 모든 파일 및 디렉토리의 소유자를 username으로, 그룹을 groupname으로 변경합니다.


4. 권한 설정 숫자 코드

(1) 숫자 코드

권한(permissions)을 설정하는 데 사용되는 숫자 코드입니다. 이 코드는 리눅스와 유닉스 기반 시스템에서 파일 시스템 권한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며, 각 숫자는 특정 사용자 그룹에 부여된 권한을 나타냅니다.

권한은 보통 세 개의 숫자로 표현되며, 각 숫자는 다음과 같은 권한 그룹을 나타냅니다:

  • 첫 번째 숫자: 파일의 소유자(owner)의 권한

  • 두 번째 숫자: 그룹(group)의 권한

  • 세 번째 숫자: 기타 사용자(others)의 권한

각 위치의 숫자는 다음 권한을 나타내는 숫자를 합산한 값입니다:

4: 읽기 권한(Read)
2: 쓰기 권한(Write)
1: 실행 권한(Execute)

예를들어, 775 권한 설정은 다음과 같은 권한을 부여합니다:

소유자(owner)에게는 읽기(4), 쓰기(2), 실행(1) 권한을 모두 부여 (합산하면 7) 그룹(group)에게도 읽기(4), 쓰기(2), 실행(1) 권한을 모두 부여 (합산하면 7) 기타 사용자(others)에게는 읽기(4)와 실행(1) 권한을 부여하지만, 쓰기 권한은 부여하지 않음 (합산하면 5)

어떤 디렉토리에 chmod 775 명령을 사용한다면, 디렉토리의 소유자와 그룹 구성원은 그 디렉토리 내의 파일을 읽고, 쓰고, 실행할 수 있지만, 기타 다른 사용자들은 파일을 읽고 실행만 할 수 있으며 파일에 대한 쓰기 권한은 없게 됩니다. 이런 설정은 팀 또는 프로젝트 공간에서 협업할 때 자주 사용됩니다.

(2) 숫자의 의미는?

리눅스 및 유닉스 계열 시스템에서 파일 권한을 숫자로 표현할 때 사용되는 4, 2, 1의 값은 각각 읽기(read), 쓰기(write), 실행(execute) 권한을 이진수로 표현한 것입니다. 이 숫자들은 각 권한의 존재 유무를 2진수의 비트로 표현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각 권한을 하나의 비트로 생각하면, 권한이 있으면 1, 없으면 0으로 표시됩니다. 이렇게 해서, 읽기, 쓰기, 실행 권한을 갖는 것은 각각 2진수로 100, 010, 001로 표현됩니다. 이는 다시 10진수로 변환했을 때 각각 4, 2, 1이 됩니다.

(3) 권한의 의미와 2진수 표현

읽기(Read) 권한은 파일의 내용을 볼 수 있는 권한이며, 디렉토리에서는 해당 디렉토리 내의 파일 및 하위 디렉토리 목록을 볼 수 있는 권한입니다. 이 권한은 2진수로 100이며, 10진수로 4입니다.

쓰기(Write) 권한은 파일의 내용을 변경할 수 있는 권한이며, 디렉토리에서는 파일 또는 디렉토리를 생성, 삭제, 이름 변경 등을 할 수 있는 권한입니다. 이 권한은 2진수로 010이며, 10진수로 2입니다.

실행(Execute) 권한은 파일을 실행할 수 있는 권한입니다. 스크립트나 프로그램에 주로 사용되며, 디렉토리의 경우에는 그 디렉토리 안으로 진입(cd 명령 사용)할 수 있는 권한을 의미합니다. 이 권한은 2진수로 001이며, 10진수로 1입니다.

이 세 권한은 조합될 수 있어서, 특정 파일이나 디렉토리에 대해 여러 권한을 동시에 설정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읽기와 쓰기 권한을 모두 부여하려면, 이진수로 110이 되며, 이는 10진수로 6입니다. 이와 같이 권한 값은 서로 더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파일이나 디렉토리에 대한 정확한 접근 권한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2진수와 10진수

2진수와 10진수는 숫자를 표현하는 두 가지 방식입니다. 각각의 방식은 숫자를 표현하는 데 사용하는 기본 단위가 다릅니다. 2진수는 0과 1 두 개의 숫자만 사용하는 반면, 10진수는 0부터 9까지 총 열 개의 숫자를 사용합니다.

2진수 (Binary)

2진수는 컴퓨터의 기본 언어로, 각 자리가 2의 거듭제곱 값을 나타냅니다. 가장 오른쪽 자리부터 시작해 각 자리의 값은 왼쪽으로 갈수록 2배씩 증가합니다.

10진수 (Decimal)

10진수는 일상 생활에서 가장 흔히 사용되는 숫자 체계로, 각 자리가 10의 거듭제곱 값을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10진수 123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댓글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