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고리즘 03 - (기본 패턴 00) 유형

5 분 소요

기본 패턴

알고리즘 문제를 해결할 때 자주 사용하는 기본 패턴을 익히는 것은 효율적인 문제 해결의 첫걸음입니다. 아래 패턴들을 반복적으로 연습하며 문제를 푸는 과정을 익히면 자연스럽게 더 어려운 문제도 해결할 수 있을 것 입니다. 각 패턴을 문제 유형과 함께 이해하고 스스로 사고하는 법과 암기 팁을 함께 작성해 보았습니다.


1. 브루트 포스 (Brute Force)

설명

  • 가능한 모든 경우를 탐색하여 정답을 찾는 방식.
  • 가장 단순하고 직관적이지만, 비효율적일 수 있음.

사용 사례

  • 작은 크기의 입력 데이터.
  • 최적화가 필요 없는 경우.

예제: 두 수의 합

배열에서 두 수의 합이 target인 경우를 찾으세요.

nums = [2, 7, 11, 15]
target = 9

for i in range(len(nums)):
    for j in range(i + 1, len(nums)):
        if nums[i] + nums[j] == target:
            print([i, j])  # 출력: [0, 1]

암기 팁

“모든 경우를 탐색하고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를 확인한다.”

또다른 방법으로 풀어보기 : 재귀를 이용한 접근

반복문 없이 문제를 해결하려면, 문제의 크기를 줄이고 특정 인덱스를 직접 계산하여 접근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수학적인 접근 또는 문제를 특정 조건으로 단순화하는 방식이 필요합니다. 아래는 반복문 없이 two_sum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입니다.


풀이: 재귀를 이용한 접근

재귀를 사용하여 반복문의 역할을 대체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이를 구현한 코드입니다.

def two_sum_recursive(nums, target, i=0, j=1):
    # 기저 조건: j가 배열 끝까지 가면 i를 증가시키고 j 초기화
    if i >= len(nums) - 1:
        return None  # 대상이 없으면 None 반환
    if j >= len(nums):
        return two_sum_recursive(nums, target, i + 1, i + 2)

    # 현재 숫자와 보완 숫자가 일치하면 결과 반환
    if nums[i] + nums[j] == target:
        return [i, j]

    # 다음 비교로 이동
    return two_sum_recursive(nums, target, i, j + 1)

# 테스트
nums = [2, 7, 11, 15]
target = 9
print(two_sum_recursive(nums, target))  # 출력: [0, 1]

코드 설명

  1. 재귀 파라미터:
    • i: 첫 번째 숫자의 인덱스.
    • j: 두 번째 숫자의 인덱스 (i보다 항상 큼).
  2. 기저 조건:
    • j가 배열 끝에 도달했을 경우, i를 증가시키고 j를 초기화 (i + 1)로 이동.
    • i가 배열 끝에 도달하면 더 이상 비교할 필요가 없으므로 None 반환.
  3. 조건 검사:
    • nums[i] + nums[j] == target이면 [i, j] 반환.
    • 조건에 맞지 않으면 j를 증가시키며 다음 재귀 호출.
  4. 결과 반환:
    • 조건이 만족되면 인덱스를 반환.
    • 만족되지 않으면 다음 단계로 이동.

실행 과정 (nums = [2, 7, 11, 15], target = 9)

i j nums[i] nums[j] nums[i] + nums[j] 결과
0 1 2 7 9 [0, 1]

중간 과정 출력 예시:

i=0, j=1: nums[0] + nums[1] = 2 + 7 = 9 -> [0, 1]

특징

  • 반복문을 사용하지 않음: 재귀로 반복을 대체.
  • 시간 복잡도: O(n²) (브루트 포스와 동일).
  • 공간 복잡도: O(n) (재귀 호출 스택 사용).

주의점

  • 재귀는 입력 크기가 큰 경우 호출 스택이 넘칠 수 있으므로, 일반적으로 반복문보다 비효율적일 수 있습니다.
  • 학습 목적으로 적합하며, 실제 문제에서는 해시맵을 활용한 O(n) 풀이가 권장됩니다. 😊

2. 슬라이딩 윈도우 (Sliding Window)

설명

  • 배열이나 문자열에서 연속된 부분 배열/문자열을 처리할 때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기법.
  • 윈도우(구간)를 이동하면서 필요한 계산만 업데이트.

사용 사례

  • 고정 크기의 부분 배열 합/최댓값.
  • 가변 크기의 조건을 만족하는 부분 배열.

예제: 고정 크기 부분 배열의 합

배열에서 길이가 3인 부분 배열의 최대 합을 구하세요.

nums = [1, 2, 3, 4, 5]
k = 3
window_sum = sum(nums[:k])
max_sum = window_sum

for i in range(k, len(nums)):
    window_sum += nums[i] - nums[i - k]
    max_sum = max(max_sum, window_sum)

print(max_sum)  # 출력: 12

암기 팁

“창을 이동하며 이전 계산을 재활용한다.”


3. 투 포인터 (Two Pointers)

설명

  • 배열을 탐색할 때, 두 개의 포인터를 사용하여 효율적으로 문제를 해결.
  • 보통 정렬된 배열에서 사용.

사용 사례

  • 두 수의 합, 부분 배열의 조건 만족 여부.

예제: 정렬된 배열에서 두 수의 합

nums = [1, 2, 3, 4, 6]
target = 6
left, right = 0, len(nums) - 1

while left < right:
    s = nums[left] + nums[right]
    if s == target:
        print([left, right])  # 출력: [1, 3]
        break
    elif s < target:
        left += 1
    else:
        right -= 1

암기 팁

“왼쪽과 오른쪽에서 좁혀가며 답을 찾는다.”


4. 동적 프로그래밍 (Dynamic Programming, DP)

설명

  • 큰 문제를 작은 하위 문제로 나누어 해결하고 결과를 저장(메모이제이션)하여 중복 계산을 방지.

사용 사례

  • 최적화 문제(최대/최소 값).
  • 피보나치 수열, 배낭 문제, 문자열 비교.

예제: 피보나치 수열

def fibonacci(n):
    dp = [0] * (n + 1)
    dp[0], dp[1] = 0, 1
    for i in range(2, n + 1):
        dp[i] = dp[i - 1] + dp[i - 2]
    return dp[n]

print(fibonacci(10))  # 출력: 55

암기 팁

“문제를 작게 쪼개고, 저장하며 결과를 조합한다.”


5. 백트래킹 (Backtracking)

설명

  • 가능한 모든 경우를 탐색하되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로는 가지치기로 제외.
  • DFS(깊이 우선 탐색) 기반.

사용 사례

  • 순열, 조합 생성.
  • N-Queens 문제, 미로 탐색.

예제: 조합 생성

def combine(n, k):
    def backtrack(start, path):
        if len(path) == k:
            result.append(path[:])
            return
        for i in range(start, n + 1):
            path.append(i)
            backtrack(i + 1, path)
            path.pop()

    result = []
    backtrack(1, [])
    return result

print(combine(4, 2))  # 출력: [[1, 2], [1, 3], [1, 4], [2, 3], [2, 4], [3, 4]]

암기 팁

“모든 경우를 탐색하되 조건에 맞지 않으면 돌아간다.”


설명

  • 정렬된 데이터에서 특정 값을 빠르게 찾는 기법.
  • 탐색 범위를 절반씩 줄여 (O(\log n))의 시간 복잡도.

사용 사례

  • 특정 값 검색, 최적화 문제.

예제: 정렬된 배열에서 값 찾기

def binary_search(nums, target):
    left, right = 0, len(nums) - 1
    while left <= right:
        mid = (left + right) // 2
        if nums[mid] == target:
            return mid
        elif nums[mid] < target:
            left = mid + 1
        else:
            right = mid - 1
    return -1

nums = [1, 2, 3, 4, 5]
print(binary_search(nums, 4))  # 출력: 3

암기 팁

“정렬된 데이터를 반으로 나누며 찾는다.”


7. 그리디 알고리즘 (Greedy Algorithm)

설명

  • 매 순간 최적의 선택을 하여 문제를 해결.
  • 항상 최적의 해를 보장하지는 않지만, 단순하고 빠름.

사용 사례

  • 최소 동전 문제, 활동 선택 문제.

예제: 최소 동전 문제

def min_coins(coins, amount):
    coins.sort(reverse=True)
    count = 0
    for coin in coins:
        if amount == 0:
            break
        count += amount // coin
        amount %= coin
    return count

print(min_coins([1, 5, 10, 25], 63))  # 출력: 6 (25+25+10+1+1+1)

암기 팁

가장 좋은 선택을 반복하며 답에 가까워진다.”


8. 그래프 탐색 (BFS/DFS)

설명

  • 그래프의 노드와 간선을 탐색하는 알고리즘.
  • BFS: 가까운 노드부터 탐색 (큐 사용).
  • DFS: 깊이 우선 탐색 (스택/재귀 사용).

사용 사례

  • 경로 탐색, 연결된 컴포넌트 찾기.

예제: DFS

def dfs(graph, start, visited=None):
    if visited is None:
        visited = set()
    visited.add(start)
    print(start, end=" ")
    for neighbor in graph[start]:
        if neighbor not in visited:
            dfs(graph, neighbor, visited)

graph = {1: [2, 3], 2: [4], 3: [5], 4: [], 5: []}
dfs(graph, 1)  # 출력: 1 2 4 3 5

암기 팁

  • BFS: “넓게 탐색한다.”
  • DFS: “깊게 탐색한다.”

스스로 사고하고 외우기

  1. 패턴화된 질문을 떠올리기:
    • “이 문제는 연속된 구간인가?” → 슬라이딩 윈도우.
    • “조건을 만족하는 조합을 구해야 하는가?” → 백트래킹.
    • “최적의 값을 반복적으로 구할 수 있는가?” → 그리디.
  2. 핵심 키워드로 외우기:
    • 브루트 포스: “모두 탐색.”
    • 슬라이딩 윈도우: “구간 이동.”
    • 투 포인터: “양끝에서 좁혀간다.”
    • DP: “작게 쪼개고 저장.”
    • 백트래킹: “조건 만족 경로 탐색.”
  3. 문제를 손으로 풀어보며 연습:
    • 간단한 입력으로 규칙을 발견하고 이를 코드로 구현해보세요.

댓글남기기